온체인 데이터 분석을 통한 투자자들의 동향 파악 방법 중 거래량 분석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 온체인 데이터 거래량 분석 방법
1. 거래량 시계열(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된 것) 분석:
거래량 시계열 분석은 특정 가상자산이나 거래소에서의 거래량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는 방법이다.
ex) 최근 1년간 BTC의 거래량 시계열 분석 결과, 최근 1개월간 거래량이 급증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최근에 BTC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거래량이 증가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거래소의 BTC 거래량 시계열 분석 결과, 최근 1개월간 거래량이 급증한 것을 파악할 수 있다면, 해당 거래소에서 BTC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거래량 비교 분석:
거래량 비교 분석은 서로 다른 가상자산이나 거래소의 거래량을 비교하여 어떤 자산이 더 많은 거래량을 보이고 있는지, 어떤 거래소가 더 많은 거래량을 처리하고 있는지 등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ex) BTC와 ETH의 거래량을 비교해 보면 BTC가 ETH보다 더 많은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또한, Binance와 Coinbase의 거래량을 비교해 보면 Binance가 Coinbase보다 더 많은 거래량을 처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가상자산 시장의 대체성이나 거래소의 시장 점유율 등을 파악할 수 있다.
3. 거래량 대비 가격 분석:
거래량 대비 가격 분석은 거래량과 가격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거래량이 많은 때와 적은 때의 가격 변동 패턴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ex) BTC 거래량이 급증할 때 BTC의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거래량을 기반으로 가격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투자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4. 거래소별 거래량 분석:
거래소별 거래량 분석은 서로 다른 거래소 간의 거래량을 비교하여 거래소별 시장 점유율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ex) Binance와 Upbit의 거래량을 비교해 보면 Binance가 더 많은 거래량을 처리하고 있으므로 Binance가 해당 가상자산의 시장 점유율이 더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자산 시장에서 어떤 거래소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거래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5. 거래 대금 분석:
거래 대금 분석은 거래량과 가격을 곱한 값으로서, 특정 가상자산이나 거래소에서 처리되는 거래 대금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ex) BTC의 일일 거래량이 1,000,000 BTC이고, 1 BTC의 가격이 50,000 달러라면 일일 거래 대금은 50,000 * 1,000,000 = 50,000,000,000 달러가 된다. 이를 통해 거래량뿐만 아니라 거래 대금까지 파악하여 가상자산 시장의 규모나 거래소의 수익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을 활용하여 온체인 데이터의 거래량을 분석하면, 해당 자산의 거래 트렌드와 시장 성장 가능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자산의 시장 전망을 예측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시장 전망을 예측하고, 투자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더리움의 거래량이 최근에 급증했다면, 이더리움을 활용하는 디앱 등의 생태계가 확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해당 자산의 시장 성장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분석 결과만으로는 결정적인 투자 결정을 내리기에는 불충분하므로, 추가적인 정보와 분석이 필요하다.
온체인 데이터(On-Chain Data) 분석이 왜 중요할까? (tistory.com)
온체인 데이터(On-Chain Data) 분석이 왜 중요할까?
온체인 데이터(On-Chain Data) 분석이 왜 중요할까? 코인 시장 전망에 대한 글을 읽다 보면 "온체인 데이터"에 대한 분석들이 계속해서 나온다. 많은 투자 전문가들이 이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는 것
1004skyblue.tistory.com
온체인 데이터(On-Chain Data) 자산 보유 분석 방법 (tistory.com)
매크로 분석이 왜 중요할까? (1) | 2023.03.29 |
---|---|
온체인 데이터(On-Chain Data) 자산 보유 분석 방법 (0) | 2023.03.28 |
온체인 데이터(On-Chain Data) 분석이 왜 중요할까? (0) | 2023.03.24 |
미 연준 유동성 관련 기사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용어 (0) | 2023.03.23 |
리세션(경기불황)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0) | 2023.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