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룰(Travel rule)은 가상자산(Virtual Asset) 거래에 적용되는 규제 중 하나로 금융거래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나 디지털 자산의 이전 과정에서 송금인과 수취인의 정보를 수집, 보유 및 공유하는 규정이다.
트래블룰은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등 대부분의 코인거래 시 전송되는 정보들을 모두 기록해야 한다는 규정이다. 즉, 개인 간 송금 시에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주소 외에 이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등 모든 것을 다 적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지키지 않으면 불법자금 세탁행위로 간주되어 처벌받을 수 있다. 이는 거래 참여자들 사이에서 자금세탁, 테러자금조달 등 금융범죄를 방지하고, 거래의 투명성을 높여서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강화한다.
트래블룰은 가상자산거래에서 수취인과 송금인의 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하는데, 가상자산 거래소나 가상자산 관련 회사들이 거래 참여자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해야 한다. 이를 위해 거래소나 회사는 보통 KYC(Know Your Customer) 정책을 시행하고, 거래 참여자들의 신원, 거래 내역 등을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과 절차를 마련한다.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거래소간 코인 이동을 하는 경우 생각보다 트래블룰로 인해 송금할 수 있는 거래소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송금인과 수취인의 정보를 확인하는데, 왜 입출금 할 수 있는 거래소가 한정되어 있는 걸까? 아마도 거래소가 이익을 따지는 사기업 집단이기 때문일 것이다.
거래소는 트래블룰을 위해 KYC 시스템 완비하고 표준화된 기준으로 타거래소와 연동해야 하는데, 거래소마다 자신에게 유리한 기준으로 표준화하길 원한다. 그러다 보니 조율된 거래소 수가 적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막대한 비용이 드는 것 또한 사실이다. 결국 소비자는 이로 인해 원하는 거래소로 송금하기 위해 몇 개의 거래소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을 겪는 경우도 발생한다.
트래블룰로 인해 그나마 좋은 점은 거래소끼리 이미 양쪽의 계정 정보가 확인되어 자금을 묶어두지 않고 바로 전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A-B-C로 자금을 이동하는 것보다는 A-C로 바로 송금할 수 있다면 더 좋지 않을까? 결국 트래블룰이 되는 거래소의 수가 많아져야만 가능한 것이다.
KYC(Know Your Customer) 인증이 뭘까? (tistory.com)
KYC(Know Your Customer) 인증이 뭘까?
KYC(Know Your Customer) 인증이 뭘까?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거래를 하려면 고객확인제도(KYC) 인증을 해야 한다. 이 제도는 자금세탁 방지를 위해 특정금융정보법에 따라 금융회사 등이 이용자의 신원
1004skyblue.tistory.com
메인넷(mainnet)이 뭘까? (0) | 2023.02.28 |
---|---|
비트코인 도미넌스(Bitcoin Dominance)가 왜 중요할까? (0) | 2023.02.27 |
KYC(Know Your Customer) 인증이 뭘까? (1) | 2023.02.24 |
에어드랍(airdrop)과 스냅샷(snapshot)은 뭘까? (0) | 2023.02.22 |
암호화폐 스테이킹(Staking)이 뭘까? (0) | 202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