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세계 각국 정부 및 중앙은행들이 경기 부양책을 내놓으면서 시중에 유동성이 많이 풀리게 되었다. 이에 따라 화폐 가치가 하락하면서 실물 자산인 부동산, 금, 미술품 등 투자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현상 속에서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금융 시스템인 디파이가 주목받게 되었다.
디파이와 이에 관련된 용어를 함께 살펴보겠다.
디파이는 DeFi(Decentralized Finance)의 줄임말로 탈중앙화 금융서비스를 의미한다. 중앙 집중형 금융 제도와 달리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제 3자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는 금융 시스템을 의미한다. 디파이는 중앙화된 기관의 개입이 없기 때문에, 거래 속도가 빠르고 수수료도 저렴하며, 높은 보안성과 투명성을 보장한다. 또한, 블록체인 상에서 실행되므로 모든 거래 기록이 공개되어, 잘못된 거래나 사기 거래를 방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디파이 플랫폼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암호화폐 담보대출, 예치, 파생상품 거래, 보험 등 여러 가지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통 금융권처럼 신용등급 대신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계약 조건을 기반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표적으로 메이커다오, 컴파운드, 에이브, 유니스왑, 신세틱스, 1inch 등이 있다. 특히 이더리움 네트워크상에서 동작하는 DEX로는 대표적으로 유니스왑, 스시스왑, 팬케이크스왑 등이 있다.
덱스는 DEX(Decentralized Exchange)의 줄임말로 분산형 거래소를 의미한다. 중앙 집중형 거래소(Centralized Exchange)와 달리,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분산화된 거래소를 구현한다.
중앙 집중형 거래소는 사용자들이 거래를 할 때, 거래소에서 중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즉, 거래소가 사용자들의 자산을 보유하고, 거래를 처리하며, 수수료를 받는 중앙화된 시스템이다. 반면에 DEX는 거래를 자동화하고 스마트 계약을 이용하여 사용자 간 직접적인 거래를 가능케 한다. 이러한 분산형 거래 방식은 중앙 집중형 거래소의 취약성을 보완하고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DEX는 사용자가 자신의 지갑(Wallet)을 통해 거래를 직접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거래에 필요한 자금도 사용자가 직접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앙 집중형 거래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해킹, 제재, 보안 등)을 해결하고, 거래 프로세스를 보다 투명하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DEX는 다양한 블록체인 기술을 지원하며, 암호화폐의 교환뿐 아니라 다른 자산의 거래도 가능하다.
중앙집중형 거래소(Centralized Exchange)는 디지털 자산(암호화폐)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사용자들이 중앙 기관이 운영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대표적인 거래소로는 업비트, 빗썸, 코인원, 바이낸스, 후오비 등이 있다.
중앙집중형 거래소는 거래소 자체에서 거래를 중개하고, 사용자들의 자산을 중앙에서 관리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지갑(Wallet)에 자산을 보관하고,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주문서비스를 이용하여 거래를 진행한다.
중앙집중형 거래소는 사용자들이 거래를 할 때 일반적으로 수수료를 부과하며, 거래소가 직접 시장 가격을 제공한다. 이러한 거래소는 대체로 거래 처리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추가적인 기능들(예: 마진 거래, 스탑-로스 주문 등)도 제공된다.
그러나 중앙집중형 거래소는 거래소 운영자가 거래에 개입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해킹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의 자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거래소에 집중적으로 보관되므로, 해킹 등의 사고가 발생하면 개인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분산형 거래소(DEX)가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유니스왑(Uniswap)과 팬케이크스왑(PancakeSwap)은 뭘까? (0) | 2023.03.03 |
---|---|
코인 스왑(Coin Swap)과 유동성 스왑(Liquid Swap) (0) | 2023.03.02 |
메인넷(mainnet)이 뭘까? (0) | 2023.02.28 |
비트코인 도미넌스(Bitcoin Dominance)가 왜 중요할까? (0) | 2023.02.27 |
거래소 트래블룰(Travel rule)은 뭘까? (0) | 2023.02.25 |